Structural Engineering with safety and life first

안전과 생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구조엔지니어링

자료실

설계부터 시공까지 다양한 전문 컨설턴트들이 의견을 수렴하여 친절하게 답해드립니다

[보수보강사례 - 13] 타일백화 보수사례

글쓴이
|
조회 435 조회
|
날짜 15-06-16 11:14

내용

1. 개요
    대상건축물은 준공 후 6년이 경과되었으며, 외벽마감은 타일 붙임으로 되어있다.현재의 유지
    관리 상황은 전체적으로는 양호하나 부분적으로 타일표면에 백화현상이 심하게 발생되어 있는
    실정이다. 주로 백화현상이 발생되고 있는 부위는 지붕층 난간벽체 하부와 창문주변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붕층 난간벽체의 백화는 벽체 상부면(두겁부분)의 균열과 침수가
    주원인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균열보수 및 방수처리가 필요하다.


2. 조사 및 백화원인․현상
    가. 조사사항
        1) 파라펫 모양 : 일반적인 일자형이 아니라  <그림1>과 같이 꺽임 형태이며, 이런 형태는 우수가
            정체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줄눈 모르터 내부로 침투되는 우수량이 많아지는 원인으로 작용됨.

13-1.jpg

                           <그림1> 꺾임형태 파라펫


        2) 파라펫 현황 : 준공 후 6년 동안 일사량 및 기온변동에 따른 재료신축의 여파로 파라펫 두겁부분에

            균열과 타일의 들뜸 현상이 발생함.
        3) 타일 줄눈상태 : 모르터의 자체강도가 약해져 있고 일부 탈락된 부분도 있으며 틈새부분이 다수 발생됨.
        4) 타일 붙임 공법 : 현장 습식압착공법으로 시공됨.
        5) 창호 주변상태 : 백화가 심하게 발생된 창호 주변에서 균열이 많이 발생되어 있음.
        6) 타일재질 : 전형적인 외장타일용인 자기질 타일 사용함.


    나. 백화 원인
        1) 파라펫 형태가 일자형이 아닌 꺽임형을 하고 있어 우수의 정체시간이 길다
        2) 두겁부의 구배설치 결여
        3) 창호 등 개구부주변 보강 결여
        4) 타일줄눈 모르터의 품질불량


    다. 발생현상
        1) 파라펫 하부에 균열과 심한 백화현상이 발생
        2) 창호주변에 균열과 심한 백화현상이 발생


3. 원인추정
    준공 후 6년이 경과되었으므로 그 동안 기후적인 영향에 의하여 재료의 신축이 반복적으로
    지속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파라펫 부분과 창문주변의 마감재료의 균열틈새로 침투된
    우수에 의해서 백화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13-2.jpg

<그림 2> 백화발생 요인도


4. 보수․보강안
    백화가 이미 발생되어 있는 부분은 묽은 염산(1:10)과 브러시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다음과 같이 보수한다.
    1) 파라펫 위 두겁
        동판이나 SST 철판을 사용하여 플레싱으로 마감 처리하여 우수의 침입을 방지한다.

       (<그림 3> 참조 바람)

    2) 균열부위
        코킹이나 실리콘으로 틈새를 충전 보수한다.
    3) 부실줄눈 부위
        심한 부분은 제거후 폴리머시멘트 모르터(PCM) 등으로 재시공한다.
    4) 타일면
        타일면 전체에 발수제를 도포하여 흡수력을 감소시키고 줄눈모르터의 방수성능을
        개선한다.

13-3.jpg



<그림3> 파라펫 위 두겁부위의 보수방안


5. 결론
    건축물의 외부마감재는 의장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구조체 및 외벽체의 실내환경 조절
    성능이나 재료의 내구성능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외벽타일 표면의 백화현상은
    타일이나 줄눈부위로 우수가 침투하여 마감재 내부로 흘러내리면서 접착모르터 내의
    수산화칼슘을 용해시키고, 이것이 외부로 스며 나오면서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탄산칼슘이 형성되는 현상이 주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고 심화되면
    미관을 해쳐 의장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바탕재의 보호기능도 상실되고 만다. 더욱이
    이를 방치할 경우에는 회복이 불가능하게 되는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계․시공 단계에서부터 바탕재의 방수성
    능․기후변동 대응성능․균열방지 보강 등의 부여와 함께 우수의 정체시간 최소화를 위한
    내수재 또는 마감재의 방수성능 강화 등의 꼼꼼한 배려가 매우 필요하다.


13-4.jpg

<사진1> 외벽타일의 백화(Ⅰ)


13-5.jpg

<사진2> 외벽타일의 백화(Ⅱ)


<출처: 시설안전관리공단>

첨부파일

  • 13-1.jpg (54.9K) 38 다운로드 | DATE : 2015-06-16 11:07:53
  • 13-2.jpg (127.4K) 38 다운로드 | DATE : 2015-06-16 11:07:54
  • 13-3.jpg (36.1K) 38 다운로드 | DATE : 2015-06-16 11:07:54
  • 13-4.jpg (331.7K) 38 다운로드 | DATE : 2015-06-16 11:07:55
  • 13-5.jpg (181.1K) 38 다운로드 | DATE : 2015-06-16 11:07:56